로그인 | ||
|
스크랩 : 0
추천 : 4 ![]() |
2023년 5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 ![]() ![]() ![]() |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
금값은 5월이 시작되며
사상 최고치
돌파를 시도하는 강세를 보이다가 중반에 접어들면서 급격한 하락 기조를 형성했다. $2,000/oz 선이 빠르게 무너지는 큰 폭의 약세를 보였다. 이후 $1,960/oz 선에서 지지받으며 반등한 후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미
인플레이션 둔화 움직임
미국
소비자·생산자 물가지수가 인플레이션의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는 흐름을 나타내며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보다는 인플레이션 상승률 하락으로 인한 약세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미 연준이
더 이상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을 추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리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인플레이션 상승률의 둔화는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의 금 매입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도한
전반적인 원자재 상품시장의 하락 흐름에 동반하는 흐름도 시장에 반영되었다.
미
부채한도 협상과 지역 은행권의 파산 우려감
난항을
겪고 있던
미 행정부와
공화당과의 부채한도 협상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있고,
지역 은행권의
추가 파산설이
잠잠해지면서 금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했다. 반면, 미국 달러화
지수가 103선을 돌파하는 강세를 보였던 것이 국제 금 가격의 하락세에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망
현재
주요 국가의
중앙은행이 지속적으로 상당량의 금을 매입하고 있으며, 올해까지는
이러한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여전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중앙은행 헤지 수요와 통화 안정에 대한 보험용 수요가 유지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는
미국의 중소 은행 파산 불안감이 여전히 잠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 행정부와 공화당 간에 부채한도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던 것이 국제 금 가격에는 현재 시점까지도 상당한 지지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다만, 중소 은행의
네 번째
추가 파산까지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미국의 금융시장은 빠르게 안정을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미 부채한도
협상이 디폴트 상황까지는 가지는 않을 확률이 높기에 단기간 협상이 난항을 겼더라도 쉽게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금 가격에는 더 이상의 호재로 작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에
금값은 사상 최고가 돌파 시도를 다수 시도했으나 번번이 실패했고,
또한 탄탄한
호재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여전히 높은 가격대인 상황에서 차익매물과 조정국면으로서의 큰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2,000/oz 선이 빠르게 무너진 시점에서 오히려 $2,000/oz 선이 심리적 저항선으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실시간
시황은 유튜브, 실시간
시세는 플레이스토어에서 ‘불리온뱅크’를 검색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사를 퍼가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예)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 0개
![]() ![]() |
![]() |
![]() |
2023년 5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 |
다음글이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