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이하 월곡재단)이 주얼리 구매자를 대상으로 『금 주얼리/제품 보유 소비자조사 2023』와 『금 주얼리/제품 재판매 소비자조사 2023』 리포트를 발표했다.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이하 월곡연구소) 리서치센터가 3년 만에 시행한 이번 조사는 국내 소비자가 보유하고
있는 금 주얼리/제품과 이후 재판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먼저, 최근 1년간 금 제품의 구매율은 3.7%를 보이며, 2020년 조사 대비 1.5%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국내 성인 남녀 10명 중 6명(61.7%)은 금 주얼리를,
3명(28.1%)은 금 제품을 한 번이라도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2020년 조사(21.5%) 대비
6.6%P 증가했다.
작년에 이어 올해 역시 상반기 경제 불확실성 확대,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금값 상승이 이어져왔다. 이번 조사에서는
소비자들이 금을 구매하는 데 있어 가격 부담은 커졌으나,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꼽히는 금 제품에 대한
관심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된다.
보유하고 있는 금 주얼리/제품
소재(중복 응답 포함)는
18K 금(45.2%), 14K 금(21.1%)로
이전 조사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24K 순금(36.9%)은
지난 조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24K 순금 보유자는 평균
13.30돈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국내 소비자의 순금 보유 총량은
약 791.6톤으로 추정된다. 또한 24K 순금 보유 현황을 세부 품목별로 살펴보면 반지(76.3%), 목걸이(59.4%), 팔찌(48.9%), 골드바(6.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국내
소비자의 금 주얼리/제품 재판매 시장의 규모는 약 2조 7,991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11년 조사 대비 -30.6% 감소한 수치이다. 반면, 치솟은 금값의 영향으로 1회 평균 재판매 가격은 약 159만 원으로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의 차익실현을 위해 금의 재판매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재판매의 이유로는 ‘금 가격이 올라서’가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전 조사(19.7%) 대비 상승했다. 최근
거시경제의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금값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는데, 이러한 경제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재판매의 주된 거래 수단이었던 현금 직거래는 이전 조사(44.0%) 대비 -21.0%P 큰 폭으로 감소한 점이 특징적이다. 계좌이체(32.3%)를 통한 현금 거래가 가장 많았고, 주얼리 교환(23.7%)의 비율도 증가했다.
재판매 경험자의 과반 이상인 61.7%가 재판매 전 정보를 사전에 찾아본 것으로 나타났다. ‘시세(94.6%)’를 가장 많이 찾아보았고, 다음으로는 ‘재판매 장소에 대한 정보(40.5%)가 이전 조사(12.9%)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소 선택의 이유로 ‘신뢰감이
들어서(16.3%)’가 이전 조사 대비 2배가량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재판매 장소의 신뢰성이 주요 요소로 부상한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재판매 조사에서는 금 주얼리/제품 재판매의 소재, 품목, 개수
등의 행태와 재판매 관련 탐색 정보 및 접촉 경로에 관한 결과도 확인 가능하다.
본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월곡재단 홈페이지(‘연구자료’)에서 『금 주얼리/제품
보유 소비자조사 2023』, 『금 주얼리/제품 재판매 소비자조사 2023』를 검색해 누구나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 김영윤 기자
ruby@diamonds.co.kr
* 기사를 퍼가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예)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